top of page

신지선 개인전_원서동 展

 

 

 

워 쇼스키 형제의 영화 매트릭스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인 이론 중 하나인 시뮬라시옹의 개념을 담고 있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정작 시뮬라시옹을 언급한 장 보드리야르는 이 영화를 두고 자신의 이론을 무엇보다도 잘못 이해한 사례라고 언급한 바 있다. 시물라시옹이 원본이 사라진 복제를 지칭하는 것이라면 매트릭스 속 주인공은 끊임없이 가상의 세계를 벗어나 진정한 세계로의 갈망 하여, 아직도 가상을 벗어나고자 하는 희망을 버리지 못한 채 원본에 대한 존재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실의 삶을 가식적인 포장으로 소비하는 ‘관광’은 원본과 복제의 개념을 빌어 현대소비사회의 일면을 드러낸다. 신지선은 자신의 생활터전(현실)을 개인적 내러티브의 꾸며낸 이야기(가상)로 나의 일상을 구경할만한 어떤 것으로 소개하여 소비하는 ‘관광’의 속성을 다루었다. 하지만 신지선의 거짓 ‘투어 리플렛’ 에 소개된 하찮은 사물들에 의미를 부여한 내러티브는 비단 허구성을 고발하여 가상을 비꼬는 어조나, 아파트라는 한국의 이기한 주거공간에 대한 논쟁적인 문제제기만을 상기시키는 것만은 아니다. 이를 두고 현실의 일면을 단지 동화적 환상으로만 비틀었다는 인상을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동화와 같은 이야기 속 환상은 때로는 불완전한 현실의 구멍을 매워주어 실재 존재하는 현실을 보다 그럴듯하게 구성하는데 일조한다. 즉 신지선이 꾸며낸 허구의 이야기들과 관광 상품으로 소비된 주거문화의 파편들은 사실 가상이라기보다는 그 자체가 이미 현실이거나 현실 속에 있다. 즉 압축된 개발의 역사 속에 밑도 끝도 없이 등장한 아파트와 같이 원서동 역시 한국 근대화의 물결 속에서 끊임없는 불연속을 겪어야 했던 원서동 역시 곳곳에서 단절된 흔적을 찾을 수가 있다. 이러한 불연속이 가져오는 불안은 역사, 주변, 사이 등등과의 묶임을 통해 안정을 회복하려 하듯이 신지선은 '아파트 프로젝트'에서 행해왔던 것처럼 그 빈틈 혹은 단면에 의미 혹은 개인적 미시적인 역사를 부여하여 그럴 듯한 현실을 제시하고 작가와 작가를 둘러싼 주변과의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Angel project'(2002) 가 작가 자신의 신체적 콤플렉스를 다루었다면 작가의 주변을 직접적으로 대면하고 반경을 넓힌 ’Apt tour project‘(2005, 이후 세원상가, 원서동, Quebec 진행)를 거쳐 ’원서동‘에서는 역사적 콤플렉스를 치유하고자 하는 제스처가 드러난다.

신지선은 일찍이 ‘원서동 프로젝트’(2006)에 팀원으로 참여하여 원서동에 대한 역사적, 건축적, 지역적 연구에서 비롯한 인문 지리학적 접근으로 한국 근대화의 단면을 드러낸 바 있다. 창경궁의 돌담과 같은 역사성에서 부터 최근 형성된 빌라촌에 이르기 까지 원서동은 정부 정책, 주거 문화, 건축부자재의 발달 등의 변화를 감내하면서 현재와 같은 다양한 스펙트럼을 드러낸다.

원서동의 역사적 기억의 켜를 들춰낸 선행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원서동’ 에서는 동시대 현실의 지평에 원서동을 드러내 근대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벌어졌던 개발의 흔적들을 애써 지우거나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정리’(담을 두른 동네, 빛으로 기억하는 시간)하고 보수(빌라가 생긴 곳)하는 작위를 통해 현재의 역사로 바라보고자 한다.

즉, 역사 속에 자신만의 내러티브를 가지고 있는 창덕궁 담은 이를 다양한 방식으로 생활 속에 녹인 원서동 풍경 드로잉으로 재정의 되며,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한옥의 기와(의 변천사), 동시에 주거문화와 더불어 시대적 문화 혹은 미감을 반영한 창틀, 대문, 맨홀 뚜껑은 작가가 임의로 상정한 외형에 따라 유형학적으로 분류 정리되어 가상의 흐름도를 통해 구성된다. 동시에, 원서동에서 가장 최근에 형성되어 역사적 내러티브가 부재한 빌라촌에 작가는 오래된 동네 어디서나 들어봄직한 혹은 전설 혹은 신화에서 자주 접하던 뉘앙스의 새로운 내러티브를 부여함으로써 빌라촌의 존재를 역사적 시간대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로써 다양한 시간대의 파편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원서동은 분류되고 범주화 되는 과정에서 현실의 일면이 탈락되고 허구의 이야기를 끼워 넣음으로써 어디까지가 현실이고 가상인지를 구별할 수 없이 동시에 복잡하게 얽혀있는 원서동의 일면을 드러내는 것이다.

 

고즈넉한 궁궐 옆에 나란히 진을 치고 있는 흉물스런 빌라촌 대신 한옥이 자리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나, 생활과 문화 양식의 변화에 발맞추지 못하는 한옥을 정말이지 관광이라는 미명하에 보존해야 한다는 것 어느 것이든 가상이 아닌 원서동의 진정한 현실의 모습이어야 한다고 말할 수 없다. 공중파 방송의 일일 드라마가 표방하는 서울 토박이의 중산층 대가족주의 삶의 표상으로 주로 등장하는 원서동 일대는 사실 사람들이 원하는 이미지를 투영한 그 자체로서 TV드라마의 세트와 다르지 않다. 사람들이 TV 드라마에서 보고 싶어 하는 것은 사실 이미 존재하지 않거나 사라져가고 있는 것에 대한 재현이라 볼 때, ‘솔약국집 아들들’ 에서 등장하는 가족은 사실 원서동에도 살지 않는다. 이런 면에서 가상과 현실이 명백히 나누어져 가야할 바를 제시하고 있는 매트릭스에서의 기계 아키텍트와 시온 전사들 간의 전쟁이 지금 이곳 원서동 보다는 훨씬 세상을 이해하기가 쉬워 보인다.

 

-장윤주, 미술사

 

 

 

 

 

 

 

Shin Ji-sun, Solo Exhibition, <Wonseo-dong>

 

 

 

The Wachowski Brothers (The Matrix) are famous for their attempt to convey Baudrillard’s ‘simulacra’ theory, one of the most well-known post modernism discourses, as a feature presentation. However, Jean Baudrillard stated that this movie clearly misrepresented his simulacra concept. This is because the protagonists in The Matrix constantly aspire toward and assume the existence of the true original, and strive to depart from the reproduced (copied) world. However, when we refer to something as simulacra, it is a copied state of an archetype, or an original, which has already disappeared.
‘Tourism’ exposes one aspect of the contemporary consumerist world because it artificially packages reality and induces the viewers (tourists) to consume the fake reality. Tourism borrows the concepts of original and copy. Shin has dealt with the attributes and properties of ‘tourism.’ Tourism covers or conceals the real life with a fictional and seemingly personal narrative, presenting someone’s routine/ritual as something worthwhile to ‘see’ or to be ‘seen.’
However, Shin’s fictional ‘Tour Replete’ endows special meaning to trivial objects or reality. Her fictional narrative tone is neither a satire of fiction in itself nor purports to expose the controversies of Korea’s unique apartment culture. Some might have the impression of a fairy-tale-like twist or distortion of reality from her narrative; however, her fantasy and fairy-like stories fill up the holes that are residing in an unstable and imperfect reality, making actual reality much more plausible.
In fact, Shin’s fictional stories and fragments of consumerist residential culture, which are consumed under the flag of tourism, are not entirely fictional. Some parts of the stories are partially true or rooted in reality. Apartment was created within the context of an exceedingly densely compressed ‘history of modernization/development,’ and no one really knows where APT came from in the first place. Wonseo-dong, similarly, repeatedly went through a disrupted course of modernization, and we can still trace the ruptures of history in this area.
The uncanny aspect caused by such severances was cleverly devised to retrieve a stable relationship amongst local area’s history with its perimeters. Likewise, Shin endows meaning or personal/micro history to such severed cracks as she did in her ‘APT Tour Project.’ By doing this, she presents a plausible reality, attempting to buil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ist and the location that encompasses the artist.
While Shin dealt with the personal and artistic complex of her physical body in the work of ‘Angel Project’ (2002), she confronted her surroundings with her ’Apt Tour Project’ (2005). This work was dealt with in further detail in a series of later projects that captured Sewon Market, Wonseo-dong and Quebec in her own way. These works clearly show that Shin is now trying to cope with and heal certain historical scars laid within the local area.
Shin initially participated ‘Wonseo-dong Project’ (2006) as a team-member expositing the cross-section of Korea’s modernization with her human geographical approach. This approach encompassed historic, architectural and local studies. The project started from historicity, the stone walls of Changkyung Palace, while also mentioning recently built mansions. Wonseo-dong endured the vicissitudes of Korea’s modern era, bearing various changes in public policy, residential culture and building materials. The area as it is today discloses the various spectrums of Korea’s modern history.
Based on previous projects that exposed the historic remnants of Wonseo-dong, Shin again exhibits Wonseo-dong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reality. However, she does not try to eliminate or discard traces of the inevitable course of modernization/development. Rather, Shin aims to glimpse Wonseo-dong with contemporary eyes either through ‘categorizing’ (accentuating ancient walled villages) and ‘repairing’ (where new mansions are built).
In other words, the stone walls of Changdeok Palace inherently store their own narrative neatly placed within history. That narrative is melted into and portrayed in the everyday life of Wonseo-dong landscapes in various ways. The memories of Hanok created in the Japanese civilization era still stand even in the 21st century. Traces of the past can be seen in every corner of Wonseo-dong: the roofing tiles of Korea’s traditional Hanok, the window frames and front doors of nearby houses, and even the manhole covers. These materials or designs were carefully chosen to meet the newest (at that time) and most contemporary aesthetics of the past, reflecting residential/historic culture of the day. They are categorized in Shin’s own unique way by formality in her fictional diagram.
At the same time, Shin endowed fictional nuances that are familiar to us through legends or myths to the areas where mansions have been recently built which lack historic narrative. In this way, they can be placed within the context of the inherent historic time of Wonseo-dong.
Various layers and fragments of the past are complexly interwoven in Wonseo-dong, in their own categorization process. During the process, the cross-section of reality is replaced by fictional stories, making viewers confused about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ity and fiction. This, in turn, exposes the uncanny aspect of Wonseo-dong from which the cross-section exposes various contexts and eras.
The artist/writer insists that there should be a Hanok instead of anti-aesthetic mansions because this landscape completely clashes with the general atmosphere of area; and, especially because historic/traditional/serene palaces are located right beside them. Then the anonymous author further goes on to say that we should preserve obsolete Hanok under the advocacy of tourism; and at the same time, she’s complimenting on the newly built mansions. Apparently, this clashing propaganda is not reflecting the true reality of Wonseo-dong.
Soap-operas often choose the Wonseo-dong area when representing the middle-class family of Seoul, a large extended family that has lived in Seoul for generations. Such a setting only reflects what the public wants to see; likewise, Shin is saying that Wonseo-dong landscape may not actually wish to oppose public’s general expectations or and treatment toward the area.
What people want to see in TV soap-operas are what have been already disappeared, things that do not exist anymore. We could never find a family like that of ‘Sons of Sol Pharmacy,’ even in Wonseo-dong. In this respect, the war between machines and Sion warriors in The Matrix, where real life and the matrix world are clearly divided, seems easier to grasp. In Shin’s Wonseo-dong Project, nothing is clear cut; rather, the boundary is malfunctioning, blurred and uncertain. Such subtle clash captures us as the uncanny beauty of Wonseo-dong captures us.

 

-Yunju Chang
 

 

 

 

bottom of page